728x90
온프레미스 환경은 일반적으로 폐쇄망으로 진행되기에 내부 사설 레포지토리인 하보를 많이 설치한다.
k8s가 1.24 부터 dockershim 을 제거 함으로 각 노드에 업글 작업을 하면서 docker 자체도 삭제를 했다
내부에서 이미지 작업을 할 경우 사설 저장소에 push 하기 위해선 태그 명도 사설저장소주소/이미지:태그
이런 형태로 올리는데 도커가 있을 경우에는 간단하게
docker login 한 다음에
$docker push 저장소 주소/이미지명:태그
이런 형태의 명령어로 쉽게 업로드를 했었다.
도커를 제거후에는 ctr(containerd CLI)로 처리 해야 되는데 몇몇 변경점이 있다.
도커가 존재 할때는
docker ps
docker images
이런 명령어로 이미지를 확인 가능 했지만
ctr 에선 명령어가 좀 다르다
ctr -n=k8s.io images list
이런식으로 된다. 물론 k8s를 사용하다 보니 저럴수도 있는 점을 유념해야 된다.
그래서 ctr 로 push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ctr -n=k8s.io image push --user [저장소계정/비번] [저장소 주소/이미지명:태그]
아 물론 사전에 하버에서 프로젝트 생성을 해주고 넣어야 된다.
728x90
'k8s'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tio-ingressgateway virtualservice match 순서(websocket테스트 하다 확인) (0) | 2023.01.06 |
---|---|
k8s pod 내부 파일 밖으로 kubectl cp 명령어 사용법 (0) | 2023.01.03 |
폐쇄망 k8s 업그레이드 docker 제거시 rancher agent 문제 (0) | 2022.08.18 |
k8s docker -> containerd 변경시 기존 이미지 pull 시에 archive/tar: invalid tar header: unknown (0) | 2022.08.18 |
metric 서버 설치 (Readiness probe failed: HTTP probe failed with statuscode: 500) 오류 수정 (0) | 2022.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