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러스터링 맺을때 시간동기화가 중요해서 ntp 설치 해서 시간 동기화 하니 시간이 안맞아 설정을 국내로 변경후 재시작 하니 맞는다
yum install ntp
-설치후-
systecmctl enable ntpd
-현 서버 확인-
ntpq -p
remote refid st t when poll reach delay offset jitter
==============================================================================
*send.mx.cdnetwo 216.239.35.8 2 u 47 64 177 1.956 -3.205 3.304
time.bora.net 203.250.179.78 3 u 46 64 141 2.737 4.817 5.223
이런식으로 뜨는데 remote 앞에 * 는 현재 동기화 중이라는거고
5~10분 정도 소요된다고 한다.
-시간 서버 위치 변경-
vi /etc/ntp.conf
server 0.centos.pool.ntp.org iburst
server 1.centos.pool.ntp.org iburst
server 2.centos.pool.ntp.org iburst
server 3.centos.pool.ntp.org iburst
--아래와 같이 변경--
#server 0.centos.pool.ntp.org iburst
#server 1.centos.pool.ntp.org iburst
#server 2.centos.pool.ntp.org iburst
#server 3.centos.pool.ntp.org iburst
server kr.pool.ntp.org
server time.bora.net
server time.nuri.net
====국내 시간 목록===
https://www.ntppool.org/zone/kr
에서 확인 가능
(iburst) 옵션은 동기화 시간 단축용
server kr.pool.ntp.org iburst
server time.bora.net iburst
server ntp.ewha.net iburst
--변경 후 데몬 재시작--
systemctl restart ntpd
--자동 시작 목록 확인--
systemctl is-enabled ntpd
--자동 시작 없으면 등록--
chkconfig ntpd on
date 로 시간 재확인
* udp 123 번 기본 포트사용으로 오픈 해야 된다고 함 안되면 포트 확인
그런데 나가는 방향일건데 이것도 방화벽에서 막는지는 모르겟다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vm 에 우분투 18 서버 live 버전 설치시 기본 세팅 (0) | 2020.09.16 |
---|---|
CentOS 7 NFS 세팅시 주의 사항 (0) | 2020.08.12 |
centos7 minimal 버전 설치시 netstat 사용 설치 (0) | 2019.10.17 |
외부망 yum 패키지 그대로 내부망으로 이관 설치시(postgresql) (0) | 2019.10.08 |
리눅스 openjdk 설치시 주의사항 (0) | 2019.02.27 |